캐나다 이민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캐나다 이민] 캐나다 유학생들의 망명 신청 급증, 그 의미는? 캐나다 유학생들의 망명 신청 급증, 그 의미는?최근 캐나다 이민부(IRCC)에서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학생비자로 입국한 뒤 망명 신청을 한 사례가 급증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2015년에는 775건에 불과했던 망명 신청이 2024년 8월까지 11,605건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수치 변화가 아니라 캐나다 유학 시스템과 이민 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는데.... 뭐 어차피 작년부터 특정 인구 집단의 가짜 망명 신청이 유행이라서 새삼스럽진 않다만. 통계를 발견한 김에 이야기를 해보자면. 1. 유학 후 망명 신청 증가의 원인? 📌 컬리지 및 교육 기관의 책임 부족 일부 사립 컬리지는 국제 학생을 적극적으로 모집하면서도, 그들의 등록 및 출석을 철저히 관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더보기 [캐나다 이민] 스타트업 이민, 팩트체크: "1억이면 된다", "50% 승률인데 뭐하러 해?" 과연 사실일까? "1억이면 된다", "50% 승률인데 뭐하러 해?" 과연 사실일까?최근 스타트업 이민(Startup Visa, SUV)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가고 있습니다. 어떤 이민 회사에서는 "1억만 있으면 캐나다 이민이 가능하다"며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있고, 또 다른 회사는 "승률이 50%밖에 안 된다"며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을 피해야 한다고 말하죠.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오늘은 그 진실을 한번 파헤쳐 봅시다. 그리고 왜 싸웁니까. 서로서로 각자 잘하는 이민 프로그램 케이스 잘 만들어가면 되죠. 안그래도 다들 어려운 이런 상황에 .... 그래서 제가 정리해드립니다.스타트업 이민 프로그램, 실제 승률은 77%! 먼저, 중요한 사실! 스타트업 이민 프로그램의 실제 승률은 약 77%입니다. 50%라는 승률은.. 더보기 [캐나다 이민] 케어기버 이민 2025 파일럿 드디어 시작!!! 드디어 돌아온 캐나다 케어기버 프로그램! 안녕하세요 비히어 이민의 알렉스킴입니다. 오늘, 많은 분들이 기다려온 캐나다 케어기버 프로그램의 새 소식이 발표되었습니다, 와우! 프로그램은 2025년 3월 31일에 공식적으로 다시 시작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그거 말고는 오늘 나온 게 없긴 합니다. ㅎㅎ 그냥 공식 페이지에 떡 하니 시작할거야! 라는 내용이 다예요. 케어기버 프로그램은 과거부터 캐나다 영주권을 보다 쉽게 취득할 수 있는 기회로 알려져 많은 분들의 관심을 끌어오긴 했다만, 한국 사람들은 그러게 많이들 도전했던 프로그램은 아닙니다. 이번 파일럿 발표를 함으로써 너무나도 쉬운 자격 요건으로 보여 많은 분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거죠. 왜? 다른 이민 방법이 거의 없기 때문인 이유가 제일 큽니다. .. 더보기 [캐나다 이민] 2025년 두 번째 CEC 추첨 (좋군), 해외 경력 클레임, PNP 할당 여파 2025년 두번 째 EE 추첨, 해외 경력 클레임, 그리고 워킹 비자 재오픈 케이스 안녕하세요, 비히어 이민의 공인이민컨설턴트 알렉스 킴입니다! 요즘 이민 관련 소식이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네요. 캐나다 이민을 준비 중인 분들이라면 놓칠 수 없는 소식들이 있어서 오늘은 주요 업데이트를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혹시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제가 유튜브에 올린 아래 영상으로도 참고해 주세요! 1. 2025년 Express Entry 두 번째 추첨: 긍정적인 신호?올해 들어 두 번째 Express Entry(EE) 추첨이 진행됐습니다. 점수 컷이나 선발 기준 역시 기존과 동일하긴 하지만 4000명이라는 숫자는 낫 배드네요. 앞으로도 이렇게 계속되리라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작년에 이어 .. 더보기 [캐나다 이민] 진짜로 반을 줄여버릴 줄이야... 2025년 주정부 이민 할당량 발표 캐나다 연방 정부에서 2025년 각 주정부를 위한 할당량 발표안녕하세요! 비히어 이민 컨설팅의 알렉스 킴입니다. 주정부들의 엄청난 화가 동반된 기사들이 이번주에 여러개가 올라왔는데요, 이것들 정리해서 2025년 캐나다 주정부 이민을 한번 같이 예상해봅시다.2025년 캐나다 PNP(주정부 이민 프로그램) 쿼터에 대해 중요한 변화는 이미 작년에 예정이 되어있었죠. 반으로 삭감시켜 버린다고 이미 연방 정부에서 으름장을 놨었으니깐요. 주요 내용을 아래에 정리해 봤습니다.1. PNP 쿼터 축소전체 이민 목표가 약 10만 명 감소하면서 PNP 할당량도 대폭 줄어들었습니다. 일부 주의 경우 쿼터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는데요, 특히 뉴펀들랜드 & 래브라도는 2024년 300명에서 2025년 150명으로 줄었고, 노바스.. 더보기 [캐나다 이민] "시작!"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제한 규정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자격 조건 업데이트 오늘 1월 21일부터 부터 캐나다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신청 자격 조건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어제까지 기존 규정에 따라 신청서를 제출하셨던 분들은 정말 다행이죠. 저희도 지난주에 바뀐다! 라고 한 사전 발표 후에, 해당되는 케이스들 접수를 위해 어찌나 달렸는지 몰라요. 어제 정말 너무나도 바빴다는. 그리고 오늘 완벽하게 체인지된 새 규정이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한번 볼까요? 제가 이민국 사이트 스크린샷 보여드리면서 자세히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무엇이 바뀌었나요? 이번 변경 사항은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면서, 주신청자의 고용 조건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뭐 그렇게 말한다고 해도 숨은 배경에는 배우자 워킹 비자를 너무.. 더보기 [캐나다 이민] LMIA 실업률 통계 업데이트: 밴쿠버 LMIA 가능해짐 ••• LMIA 신청을 위한 실업률 통계 업데이트: 밴쿠버의 변화와 기회 ••• 1. LMIA와 실업률 기준의 중요성 작년 9월말 이후로 LMIA가 타잇해지면서, 이제 캐나다에서 Labour Market Impact Assessment(LMIA)를 신청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다들 아시죠? 특히, LMIA를 Low Wage 카테고리로 신청하려는 회사는 위치한 도시의 실업률이 6% 미만이어야 하는게 첫번째 기준인데요. 이 기준은 캐나다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때 국내 근로자의 기회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것입니다. 뭐 그럴싸한 이유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로컬의 친구들이 취업 자리를 싸구려 남아시아 애들에게 다 뺏기고 있는 건 사실이긴 하니깐요... 더보기 [캐나다 이민]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 "변경안" 최종 정리편.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 "변경안" 최종 정리편 요즘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Spousal Open Work Permit)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고, 헷갈려하는 질문을 주셔서 이 주제를 정리한번 해보죠. 특히 최근 변화가 예고된 규정들이 있기 때문에, 배우자 비자 신청을 준비 중인 분들은 꼭 참고하신느 게 좋을 거 같아요 배경: 배우자 오픈 워크 퍼밋, 왜 이렇게 중요할까? 캐나다는 외국인 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이민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배우자 오픈 워킹 비자입니다. 이 비자는 주 신청자의 직업과 무관하게 배우자가 캐나다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인데요. 이 제도는 캐나다에서 함께 생활하는 가정에게 경제적 안정과 직업 선택의 자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굉..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